그냥 해라. 늦은 건 없다.

늦었다고 생각하는 그 생각만 있을 뿐.

하세요 그냥.

무언가를 잃더라도 얻는 것이 그것을 상회할 겁니다.

 

학전 폐관 이후 얼마 되지 않아, SBS에서 김민기 대표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 3부작을 방영했다. 

학전 폐관이 다큐 제작의 계기가 됐겠지만, 내용은 김민기라는 사람이 살아온 시대와 여러 활동, 노래에 대한 이야기를 다룰 수 밖에 었는데, 지난 흔적을 되짚는 식으로 연출되다보니 같이 보던 가족 중 누군가가 '김민기 씨가 죽었어?' 라고 물어볼 정도였다. 

 

그땐 무슨 소리냐고 답했는데, 이제는 정말 그 말이 사실이 됐다. 

 

고등학생 때 '지하철 1호선'을 접한 뒤로, 꾸준히 학전을 방문했다. 

물론 나는 일개 관객일 뿐, 한번도 김민기 대표님과 말을 섞어 보지도, 인사를 나눈 적도 없다. 

하지만 아침에 부고 소식을 들으니 괜시리 눈물이 났다. 

아마도 두 번 다시는 학전을, 그분이 연출한 극을 영원히 만나지 못한다는 사실 때문일 거다. 

학전에서 겹겹이 쌓던 추억을 더 이상 이을 수 없게 됐다.

 

 

그동안 감사했습니다. 하늘에서 편히 쉬세요.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150078.html

나는 글쓰기를 나를 성장시키는 학습의 과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메모 수준으로 작성한 혼자만의 오답 노트는 나를 성장시키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또한 기록이 쌓여도 집적이 어렵기 때문에 눈 굴리듯 결과를 확장시키는 것이 어렵다. (중략) 성장의 핵심은 피드백이다. 유명한 블로그가 아닌 이상 개인 블로그에 찾아오는 사람이 거의 없다. 때문에 읽는 사람 역시 소수다. 소수의 사람들이 글을 읽더라도 오답 노트 수준의 글에 효과적인 피드백을 기대하기 어렵다. 의도적으로 피드백을 만들어야 하지만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내면에 두려움이 존재한다.

내가 쓴 글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부끄럽다.
내가 쓴 글을 지인들이 읽고 놀릴까 두렵다.
내가 쓴 글이 틀릴까 두렵다.
내가 쓴 글에 비난의 댓글이 달릴까 두렵다.

하지만 자신을 노출하지 않고서는 피드백을 얻을 수 없다.

 

소소한 개인 블로그라는 생각으로 지금까지 해왔고, 찾아주는 이가 적어도 관심사를 공유하는 소수의 사람들만 있다면 그걸로 족하다, 결국 자기만족이었는데, 내심 마음 한 구석에선 내가 쓴 주제들에 대해 많은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고 반응을 보고 싶고, 그게 재밌어서 지금까지 이어졌던 게 아닌가 싶다. 이 마음은 마치 '유명하고 돈은 많이 벌었음 좋겠지만 나를 알아보는 사람은 적은' 꼴을 원하는 것과 비슷한 거 아닌가?!

 

이 글을 읽고 더 나은 글쓰기를 위해 그리고 앞으로 블로그 운영방향은 어떻게 할 것인지 조금 생각해봐야겠다고 느꼈다.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053/

 

글쓰기가 어려운 당신에게(7년째 쓰는 개발자로부터) | 요즘IT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글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몇 년 전 어느 책 저자의 멘토링 수업에 참관한 적이 있었는데 거기에서도 비슷한 질문이 나왔었다. 사내 위키

yozm.wishket.com

 

 

'기생충' 때 봉준호 감독이 베니티 페어 인터뷰 하는 걸 봤었는데, 최근에 박찬욱 감독 인터뷰를 보고 반가운 마음에 업로드 해본다. (감독님 싸인이 참 멋지시군요....) 내년쯤에 드라마 '동조자'가 오픈 예정이라서 최근에 영상 몇 개를 좀 찾아봤더니, 유튜브가 바로 며칠 전에 업로드 된 인터뷰 영상을 추천한다. 

 

'올드보이' 개봉 당시 극장가서 보고 이후에 또 본 적은 없는 것 같다.

그렇게 밝은 내용이 아니라 그런지 생각 날 때마다 선뜻 꺼내볼 만큼은 아니었던 것 같다. 당시에 재밌게 보긴 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는 이유에 대해선 잘 느끼지 못했다. 소재가 파격적이고 음악이 좋았고, 연출이 독특했던 것 같다 - 정도가 당시의 감상이었던 듯.

 

이 영화가 벌써 20년이 넘었다니... 언제 다시 한번 이 영화를 봐야겠다. 세월이 흘러 마주한 '올드보이'는 어떤 느낌일까.

 

 

저는 어떤 상황에서도, 특히 가장 유머와 거리가 먼 상황에서, 절대로 웃겨서는 안되는 상황에서  
그때 등장하는 유머야 말로 가장 값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인생을 총체적으로 묘사하는 중요한 비결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반드시 유머가 등장해야 합니다.

 

인터뷰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말.

박찬욱 감독의 어느 작품에서건 나는 저런 부분을 참 좋아했던 것 같다.